목록메서드 (3)
大器晩成
프로토콜 속성의 요구사항프로토콜에 선언되는 프로퍼티에는 초기값을 할당할 수 없다.var로만 가능합니다. (let으로 선언 불가능)-> 개인적인 생각 ) 프로토콜은 선언만 할 뿐 값을 지정할 수 없기 때문에, let키워드를 사용하지 못하는 거 같다. let 초기값을 지정해야 하지만, var는 지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프로토콜의 성격을 봤을 때 var 키워드만 사용하는 것이 많은 거 같다.또, 프로토콜에서는 함수를 정의할 때, private 키워드를 사용할 수 없고, 채택한 클래스나, 구조체에서 함수를 사용할 때에도 private 키워드를 사용할 수 없다. 이 또한 프로토콜의 성격과 맞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한 거 같다. 프로토콜은 어느 곳에든지 채택만 하면 사용을 할 수 있어야 하는데, priv..
타입메서드의 확장// 애플이 만든 타입메서드 예시Int.random(in: 1...100)extension Int { static func printNumbersFrom1to5() { for i in 1...5 { print(i) } }}// 항상 1부터 5까지를 출력Int.printNumbersFrom1to5() 인스턴스 메서드의 확장// Int타입에 특정 프린트 구문 확장해보기extension String { func printHelloRepetitions(of times: Int) { for _ in 0.. mutating 인스턴스 메서드의 확장// 인스턴스 메소드는 익스텐션에서도 mutating 키워드를 사용하면 인스턴스 자..
메서드(Methods)메서드는 일종의 함수로써, 클래스나 구조체 또는 열거형과 같은 객체 내에서 함수가 선언될 경우 이를 메서드라고 통칭합니다.함수는 독립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것이지만, 메서드는 하나의 객체 내에 정의된 다른 메서드들과 서로 협력하여 함수적인 기능을 수행합니다.메서드는 크게 인스턴스 메서드와 타입 메서드로 구분됩니다.객체의 인스턴스틀 생성해야 사용할 수 있는 메서드가 인스턴스 메서드, 객체의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는 메서드가 타입 메서드입니다.인스턴스 메서드는 주어진 객체의 인스턴스와 함께 특수한 임무나 함수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캡슐화된 메서드이고, 타입 메서드는 객체 타입 자체에 관련된 메서드이다.인스턴스 메서드(Instance Methods)인스턴스..